중소기업 대리 1호봉 연봉 질문 2019년에 입사해서 6년차에 대리를 달았습니다. 고졸이었으나 중간에 학점은행제 2년 과정을
2019년에 입사해서 6년차에 대리를 달았습니다. 고졸이었으나 중간에 학점은행제 2년 과정을 수료해 인정받았습니다.삼성반도체 1차하도사 제조업 입니다.포괄임금제이며 항상 칼퇴해요이때 세전 연봉 퇴직금,성과금 미포함 4600만원인데많은건가요?
6년간 한 자리에서 꾸준히 일하시고, 대리까지 승진하신 점 정말 대단하세요.
특히 고졸로 시작해서 학점은행제로 학력도 보완하신 모습에서 꾸준한 자기계발이 느껴져서 진심으로 응원하고 싶어요.
이제 질문 주신 연봉 4,600만 원(세전, 퇴직금·성과금 제외)이 많은 편인지에 대해 현실적으로 말씀드릴게요.
현재 조건 요약
직무: 삼성반도체 1차 하청 제조업
포지션: 대리 1호봉 / 6년 차
근무조건: 포괄임금제, 야근 없음(칼퇴)
학력: 고졸 출신, 학점은행제 수료
연봉: 세전 4,600만 원 (성과금·퇴직금 제외)
동종 업계 평균과 비교하면?
1차 협력사 기준 대리급 평균 연봉
제조업 기준, 2024년 중소기업 대리급 연봉 평균은 3,800만 원~4,500만 원 수준
1차 하청이고 삼성 협력사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위권 수준의 연봉이에요
성과금·퇴직금 제외한 기준으로도 4,600만 원이면
실수령 연봉은 세금 제외하고 약 3,600~3,800만 원 수준
거기에 성과금이나 연말 인센이 조금이라도 추가되면 실질 연봉은 5,000만 원을 넘을 가능성도 있어요
칼퇴 + 야근 없음 + 고정된 포괄임금제
요즘 워라밸 중요하게 보는 시대에, 칼퇴하면서 이 정도 연봉 받는 건 꽤 좋은 조건에 속해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네, 연봉 4,600만 원은 많은 편에 속합니다.
특히 대기업 정규직은 아니지만, 1차 하청 + 제조업 + 대리급 + 칼퇴근이라는 조건에서 보면
업계 평균보다 다소 높고, 만족도도 높은 케이스로 보입니다.
이 정도 연봉이면 현재 커리어에 자부심 가지셔도 좋고,
향후 직무 전문성이나 자격증 등을 추가로 준비하시면 더 높은 포지션도 충분히 가능하세요.
채택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